제목 | 지스트, 95% 수입에 의존하는 해양장비 국산화 위한 기술이전 설명회 개최 | ||
---|---|---|---|
작성자 | 관리자 | 작성일 | 2020-12-23 최근수정일 2020-12-23 , IP 172.25***** |
파일 |
사진_해양장비 국산화 위한 기술이전 온라인 설명회 개최.PNG (2,167kb), Down 91, 2020-12-23 17:18:20 |
||
지스트, 95% 수입에 의존하는 해양장비 국산화 위한 기술이전 설명회 개최
- 2013년부터 해양수산부 “해양장비개발 및 인프라구축 사업”으로 수행된 연구개발 결과물의 기술이전 위한 온라인 설명회 개최
□ 지스트(광주과학기술원, 총장 김기선) 정보통신융합연구센터는 해양음향측심 물성 모니터링기기의 국산화개발 기술이전을 위한 온라인 설명회를 12월 22일에 개최하였다. ∘ 해양장비 기술은 IT(정보기술), MT(해양과학기술), ET(환경기술) 등이 융합된 기술로 지구온난화 연구분야, 국방분야 뿐 아니라 신재생 에너지 산업, 외해 양식 어장, 해저자원 개발 등 고부가가치 해양 신산업 창출에 활용될 수 있어 미래 유망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. □ 본 설명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 방침에 따라 비대면 온라인으로 해양수산부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주최하고 지스트 정보통신융합연구센터가 주관하여 해양수산부 및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관계자를 비롯한 연구수행기관 및 협동기관과 관련기업 (UST21, 지오시스템리서치, 산엔지니어링, 백건준설)이 참여하여 진행하였다. □ 지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8차년도에 걸쳐 수행된 해양수산부 “해양장비 개발 및 인프라구축사업”의 “해양음향측심 물성 모니터링기기 국산화개발” 과제는 국내특허등록 9건과 2건의 기술이전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였고 국제특허 5건, 국내특허 21건을 출원하였다. ∘ 그 결과물인 ▲“고해상도 멀티빔 음향측심기기 및 고효율 모듈 국산화 개발(MBES : Multi Beam Echo Sounder)”와 ▲“해양 물성 모니터링 원격전송 시스템 국산화 개발(OPMS: Ocean Properties Monitoring System)”성과는 해저의 장애물 또는 지형을 탐지하고, 일정 해역의 해양정보를 수집하여 양식수산업, 해양재난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, 기술이전을 통해 실질적인 기업 매출에 기여하고 고용창출 및 해양탐사, 조사/관측 선진화 실현될 수 있도록 기술이전 설명회가 마련되었다. □ ▲고해상도 멀티빔 음향측심기기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덴마크 레손(Reson)사의 다중빔음향측심(MultiBeam Echosounder) 장비인 Projector & Receiver(빔수, 반송주파수, Along-track 빔폭, Across-track 빔폭), Sonar Processor Unit(Max Swath Range, 수심분해능, 최대 검지 수심)와 비교했을 때 세계 최고 수준과 동일한 수준까지 달성하였고, 제작된 기기는 국립해양조사원의 검증을 완료하였다. ▲해양 물성모니터링 시스템의 음향센서 또한 음향 변환기(Acoustic Transducers) 장비별 송신전압감도, 송신센서 수중임피던스, 수신 전압감도, 빔패턴에 대해 세계 기술의 동일한 수준까지 달성하였고, 국방과학기술연구소의 공인인증을 완료하였다. ∘ 따라서 본 연구성과의 기술이전으로 현재 95%를 수입에 의존하는 해양장비를 개발함으로써 연간 동종장비 100억원 이상, 유사장비 300억원 이상의 수입 대체 효과가 가능하며, 연간 5천억원 이상의 전 세계 시장에 장비 수출과 다양한 원천기술 확보가 기대된다. <끝>
▲ 해양장비 국산화 위한 기술이전 비대면 온라인 설명회 개최 |